본문 바로가기

AWS

[요금 발생 썰] - 탄력적 IP (Elastic IP address) 로 인한 요금 발생 ssul

필자는 분면 EC2 Free Tier 만 사용하고 있었다...

 

그런데 청구서를 보는데 0.13 달러 청구가 발생!!!....

 

 

엥??.... 왜..?

분명 EC2 Free Tier 서버를 오픈한지 2days 뿐이고... 심지어 아껴사용하기 위해 잠시 중지까지 해놓았다...

 

근데 왜 요금이 부과된것일까!!

 

그래서 찾아보았다.

 

청구서에 들어가보니 어디 부분에서 요금이 발생했는지 자세히 확인이 가능했다.

 

 

"0.005 per Elastic IP address not attached to a running instance per hour (prorated)" 이부분이다.

 

탄력적 IP 가 instance 연결을 해놓지 않으면 요금이 부과된다고는 알고있었다.

 

하지만 상기 문장에서 Point 는 running instance 이다.

 

즉, 중지된 Instance 에 연결된 Elastic IP Address 는 과금 대상인것이다.

 

인스턴스가 무조건 Running 상태여야 Elastic IP Address 에 대한 과금이 안된다.

 

그리하여 필자는 Elastic IP Address 를 바로 삭제했다... 과금량은 많지 않지만 EC2 는 그저 연습용이기 때문에 그걸 위해 과금을 하고 싶지는 않아서 이다.

 

 

탄력적 IP 주소를 지우는 방법은 먼저 "탄력적 IP 주소 연결 해제" 를 진행한 후 "탄력적 IP 주소 릴리스"를 클릭하면 된다.

 

삭제가 아니라 왜 릴리스지..? 한다면 나에게 완전하게 할당되어 나에게 매어버린 고정 주소를 이제는 다시 net 상에 풀어놓는다~ 생각하면 된다.

 

마치 야생말 한마리를 데려와 탈것으로 사용하고 다 사용 후 야생에 다시 풀어놓는 느낌..?